호노리우스 칸투아리엔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노리우스는 7세기 캔터베리 대주교였다. 로마 출신으로, 잉글랜드로 파견된 두 번째 선교사 그룹의 일원으로 추정된다. 627년 링컨에서 대주교로 서임되었으며, 교황 호노리우스 1세에게 요크 관구 승격을 요청하여 파울리누스가 팔리움을 받도록 했다. 그는 펠릭스를 동앵글리아로 파견하고, 최초의 앵글로색슨인 주교인 이타마르를 서임하는 등 잉글랜드 기독교화에 기여했다. 호노리우스는 653년에 사망했으며, 세인트 어거스틴 교회에 묻혔고, 후에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53년 사망 - 압바스 이븐 압둘 무탈립
압바스 이븐 압둘 무탈립은 무함마드의 삼촌이자 초기 이슬람의 중요 인물로, 향신료 무역으로 부를 쌓고 이슬람으로 개종하여 무함마드의 군대에 합류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아바스 왕조를 세웠다. - 653년 사망 - 이도종
이도종은 당나라 초기에 당 고조 이연의 종실로서 당나라 건국과 여러 전쟁에서 공을 세워 왕에 봉해졌고, 당 태종 시기 토욕혼 정벌, 문성공주를 토번으로 시집보내는 등 활약했으나, 당 고종 시기 모반 혐의로 유배 중 사망 후 관직이 복구되었으며 당나라 초기 가장 뛰어난 왕족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 켄트의 성인 - 멜리투스
7세기 초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멜리투스는 런던의 첫 번째 주교이자 캔터베리의 세 번째 대주교로, 교황 그레고리오 1세에 의해 파견되어 기독교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화재를 진화시킨 기적으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켄트의 성인 - 유스투스
유스투스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잉글랜드에 파견한 선교단의 일원으로서, 로체스터 주교,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했으며, 성인으로 추대되어 11월 10일에 축일이 지정되었다. - 그레고리오 선교사업 - 교황 그레고리오 1세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6세기 후반 로마 교황으로, '하느님의 종들의 종'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교황권의 봉사 강조, 교회 개혁, 앵글로색슨족 기독교 전파, 전례 개정 및 그레고리오 성가 발전, 그리고 중세 영성에 큰 영향을 미친 저술 활동을 했다. - 그레고리오 선교사업 - 멜리투스
7세기 초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멜리투스는 런던의 첫 번째 주교이자 캔터베리의 세 번째 대주교로, 교황 그레고리오 1세에 의해 파견되어 기독교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화재를 진화시킨 기적으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호노리우스 칸투아리엔시스 | |
---|---|
기본 정보 | |
존칭 | 성인 |
이름 | 호노리우스 |
직함 | 캔터베리 대주교 |
재임 시작 | 627년 |
재임 종료 | 653년 9월 30일 |
이전 | 저스투스 |
이후 | 데우스데디트 |
축성자 | 요르크의 파울리누스 |
축성 시기 | 627년 |
출생지 | 로마 |
사망일 | 653년 9월 30일 |
매장지 |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 캔터베리 |
기념일 | 9월 30일 |
숭배 대상 |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
시성일 | 전례 이전 |
성지 |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 캔터베리 |
2. 초기 생애
로마 출신인 호노리우스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잉글랜드로 파견한 그레고리오 선교의 일원이었을 수도 있지만, 601년에 파견된 두 번째 선교사 그룹의 일원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2][3] 그의 이름이 출생 시에 주어진 것인지, 아니면 대주교가 되면서 선택한 것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4]
호노리우스는 요크의 파울리누스에 의해 링컨에서 대주교로 서임되었다.[5] 그는 교황 호노리우스 1세에게 서신을 보내 요크 관구를 대주교 관구로 승격시켜 잉글랜드의 한 대주교가 사망했을 때 다른 대주교가 사망한 주교의 후임자를 서임할 수 있도록 요청했고, 교황은 이를 승인했다. 그는 노섬브리아와 동앵글리아 선교에 힘썼으며, 최초의 앵글로색슨인 주교인 로체스터의 이타마르를 서임했다.[9] 또한 아일랜드 선교 사업과는 거의 충돌이 없었고, 린디스판의 아단을 존경했다.[13]
3. 캔터베리 대주교
3. 1. 노섬브리아 선교와 파울리누스의 로체스터 주교 임명
627년, 호노리우스는 요크의 파울리누스에 의해 링컨에서 대주교로 서임되었다.[5] 호노리우스는 교황 호노리우스 1세에게 서신을 보내 요크 관구를 대주교 관구로 승격시켜 잉글랜드의 한 대주교가 사망했을 때 다른 대주교가 사망한 주교의 후임자를 서임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교황은 이에 동의하여 파울리누스에게 팔리움을 보냈지만, 이 시점에 파울리누스는 이미 노섬브리아에서 도망친 상태였다.[6] 633년 10월 노섬브리아의 에드윈 왕이 사망한 후, 파울리누스는 노섬브리아를 탈출하여 호노리우스에게 받아들여져 로체스터 주교로 임명되었다.[5]
3. 2. 동앵글리아 선교
호노리우스는 버건디 출신인 펠릭스를 던위치로 파견하여 잉글랜드인 개종 사업을 통합했다.[9] 펠릭스가 대주교에게 동앵글리아로 선교사로 가고 싶다는 뜻을 밝힌 후였다.[2] 호노리우스는 펠릭스를 초대 동앵글리아 주교로 서임했을 수도 있고,[10] 펠릭스는 이미 유럽 대륙에서 서임되었을 수도 있다.[9][11] 이 사건은 631년 즈음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연대는 불분명하다.[12] 동앵글리아의 시게베르트 왕은 유럽 대륙에서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기독교로 개종했는데, 이때 이미 펠릭스를 만났고, 펠릭스가 호노리우스에게 가는 것을 주도했을 가능성이 있다. 펠릭스 외에도, 호노리우스는 최초의 앵글로색슨인 주교인 로체스터의 이타마르를 서임했으며,[9] 그의 후임자 또한 잉글랜드 출신이었다.[2]
3. 3. 앵글로색슨인 주교 서임
627년, 호노리우스는 요크의 파울리누스에 의해 링컨에서 대주교로 서임되었다.[5] 호노리우스는 호노리우스 1세에게 서신을 보내 요크 관구를 대주교 관구로 승격시켜 잉글랜드의 한 대주교가 사망했을 때 다른 대주교가 사망한 주교의 후임자를 서임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교황은 이에 동의하여 파울리누스에게 팔리움을 보냈지만, 이 시점에 파울리누스는 이미 노섬브리아에서 도망친 상태였다.[6]
호노리우스는 버건디 출신인 펠릭스를 던위치로 파견하여 잉글랜드인 개종 사업을 통합했다.[9] 펠릭스가 대주교에게 동앵글리아로 선교사로 가고 싶다는 뜻을 밝힌 후였다.[2] 호노리우스는 펠릭스를 초대 동앵글리아 주교로 서임했을 수도 있고,[10] 펠릭스는 이미 유럽 대륙에서 서임되었을 수도 있다.[9][11] 이 사건의 연대는 불분명하지만, 아마 631년 즈음일 것이다.[12] 펠릭스에 대한 도움 외에도, 호노리우스는 최초의 앵글로색슨인 주교인 로체스터의 이타마르를 서임했으며,[9] 그의 후임자 또한 잉글랜드 출신이었다.[2]
3. 4. 아일랜드 선교와의 관계
호노리우스는 요크의 파울리누스에 의해 627년 링컨에서 대주교로 서임되었다.[5] 그는 버건디 출신 펠릭스를 던위치로 파견하여 잉글랜드인 개종 사업을 통합했다.[9] 펠릭스가 대주교에게 동앵글리아 선교사로 가고 싶다는 뜻을 밝힌 후였다.[2] 호노리우스는 펠릭스를 초대 동앵글리아 주교로 서임했을 수도 있고,[10] 펠릭스는 이미 유럽 대륙에서 서임되었을 수도 있다.[9][11] 이 사건은 631년 즈음일 것으로 추정된다.[12] 동앵글리아의 시게베르트 왕이 유럽 대륙 망명 중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펠릭스를 만났고, 펠릭스가 호노리우스에게 가도록 주도했을 가능성이 있다. 호노리우스는 최초의 앵글로색슨인 주교인 로체스터의 이타마르를 서임했으며,[9] 그의 후임자 또한 잉글랜드 출신이었다.[2]
호노리우스는 아일랜드 선교 사업과 거의 충돌이 없었고, 린디스판의 아단을 존경했다.[13]
4. 사망과 유산
호노리우스는 653년 9월 30일에 사망했으며,[14] 그는 마지막 그레고리 선교사였다.[4] 그는 캔터베리 세인트 어거스틴 교회에 묻혔다.[6] 그는 나중에 성인으로 존경받았으며, 축일은 9월 30일이다.[10] 그의 유해는 1091년에 새로운 무덤으로 옮겨졌으며, 그 무렵 고슬린에 의해 그의 생애에 대한 전기(hagiography)가 쓰여졌다.[15] 1120년대에 그의 유해는 여전히 세인트 어거스틴에서 숭배되었다.[16]
참조
[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Saints
[2]
서적
Brief History of the Anglo-Saxons
[3]
서적
Anglo-Saxon England
[4]
논문
Naming of Bishop Ithamar
[5]
서적
World of Bede
[6]
서적
Honorius (St Honorius)
[7]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8]
서적
Companion to Bede
[9]
서적
Early History of the Church of Canterbury
[10]
서적
New Dictionary of Saints
[11]
서적
World of Bede
[12]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13]
서적
Coming of Christianity
[14]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15]
논문
Handlist of Anglo-Saxon Saints
[16]
논문
Absent Fath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